1986년 FIFA 월드컵 B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86년 FIFA 월드컵 B조는 멕시코, 파라과이, 벨기에, 이라크가 속한 조별 리그였다. 멕시코가 2승 1무로 조 1위를, 파라과이가 1승 2무로 조 2위를 기록하여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벨기에는 1승 1무 1패로 조 3위, 이라크는 3패로 조 4위를 기록했다. 
2. 조별 리그 순위
순위 팀 경기수 승 무 패 득점 실점 득실차 승점 결과 1 멕시코 3 2 1 0 4 2 +2 5 결선 토너먼트 진출 2 파라과이 3 1 2 0 4 3 +1 4 결선 토너먼트 진출 3 벨기에 3 1 1 1 5 5 0 3 결선 토너먼트 진출 4 이라크 3 0 0 3 1 4 -3 0 탈락 2. 1. 순위표
| 순위 | 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결과 | 
|---|---|---|---|---|---|---|---|---|---|---|
| 1 | 멕시코 | 3 | 2 | 1 | 0 | 4 | 2 | +2 | 5 | 결선 토너먼트 진출 | 
| 2 | 파라과이 | 3 | 1 | 2 | 0 | 4 | 3 | +1 | 4 | 결선 토너먼트 진출 | 
| 3 | 벨기에 | 3 | 1 | 1 | 1 | 5 | 5 | 0 | 3 | 결선 토너먼트 진출 | 
| 4 | 이라크 | 3 | 0 | 0 | 3 | 1 | 4 | -3 | 0 | 탈락 | 
2. 2. 경기 결과
1986년 FIFA 월드컵 B조에서는 다음과 같은 경기들이 치러졌다.- 1986년 6월 3일 멕시코시티 아스테카: 멕시코 2 - 1 벨기에[1]
 - 1986년 6월 4일 톨루카 네메시오 디에스: 파라과이 1 - 0 이라크
 - 1986년 6월 7일 멕시코시티 아스테카: 멕시코 1 - 1 파라과이[1]
 - 1986년 6월 8일 톨루카 네메시오 디에스: 이라크 1 - 2 벨기에
 - 1986년 6월 11일 멕시코시티 아스테카: 이라크 0 - 1 멕시코
 - 1986년 6월 11일 톨루카 네메시오 디에스: 파라과이 2 - 2 벨기에
 
2. 2. 1. 벨기에 vs 멕시코
1986년 6월 3일, 멕시코시티의 아스테카에서 열린 벨기에와 멕시코의 경기는 멕시코가 2-1로 승리했다.[1] 멕시코는 전반 23분 키라르테의 선제골과 39분 산체스의 추가골로 앞서나갔다.[1] 벨기에는 전반 45분 판던베르흐가 한 골을 만회했지만,[1] 경기를 뒤집지는 못했다. 이 경기에는 110,000명의 관중이 입장했다.[1]| 벨기에 선수 | 멕시코 선수 | |
|---|---|---|
| 장-마리 파프 (GK, 1) | 파블로 라리오스 (GK, 1) | |
| 위고 브로스 (DF, 19) | 마리오 트레호 (DF, 2) | |
| 에릭 헤러츠 (DF, 2) | 페르난도 키라르테 (DF, 3) | |
| 프랑키 판 데르 엘스트 (DF, 3) | 펠리스 크루스 (DF, 14) | |
| 미셸 드 올프 (DF, 4) | 라울 세르빈 (DF, 17) | |
| 프랑키 베르코테랑 (MF, 6) | 카를로스 무뇨스 (MF, 16) | |
| 레네 판더레이컨 (MF, 7) | 토마스 보이 (MF, 10) (주장) | |
| 필리프 데스메 (MF, 10) | 하비에르 아기레 (MF, 13) | |
| 엔초 시포 (MF, 8) | 마누엘 네그레테 (FW, 22) | |
| 얀 쾰레만스 (MF, 11) (주장) | 루이스 플로레스 (FW, 15) | |
| 에르빈 판던베르흐 (FW, 9) | 우고 산체스 (FW, 9) | |
| 교체 선수 | ||
| 자키 뮈나롱 (GK, 12) | 올라프 에레디아 (GK, 20) | |
| 조르주 그륀 (DF, 13) | 알레한드로 도밍게스 (MF, 8) | |
| 미셸 랑캥 (DF, 5) | 미겔 에스파냐 (MF, 7) | |
| 니코 클레선 (FW, 16) | 프란시스코 하비에르 크루스 (FW, 5) | |
| 스테판 드몰 (MF, 21) | 카를로스 에르모시요 (FW, 11) | |
| 감독 | ||
| 기 티 | 보라 밀루티노비치|보라 밀루티노비치sr | |
2. 2. 2. 파라과이 vs 이라크
1986년 6월 4일, 톨루카의 네메시오 디에스에서 열린 파라과이와 이라크의 경기는 파라과이가 1-0으로 승리했다. 로메로가 35분에 결승골을 넣었다. 관중 수는 24,000명이었고, 주심은 모리셔스의 에드윈 피콩-아콩이었다.| 파라과이 | 이라크 | ||||
|---|---|---|---|---|---|
| 포지션 | 등번호 | 이름 | 포지션 | 등번호 | 이름 | 
| GK | 1 | 로베르토 페르난데스 | GK | 1 | 라드 함무디 (주장) | 
| DF | 2 | 후안 토랄레스 | DF | 3 | 칼리 알라위 | 
| DF | 3 | 세사르 사발라 | DF | 4 | 나딤 샤케르 | 
| DF | 4 | 블라디미로 스체티나 | DF | 5 | 사미르 샤케르 | 
| DF | 5 | 로헬리오 델가도 (주장) | DF | 15 | 나틱 하심 | 
| MF | 6 | 호르헤 아마도 누네스 | DF | 22 | 가님 오라이비 | 
| MF | 10 | 아돌피노 카녜테 | MF | 6 | 알리 후세인 시하브 | 
| MF | 8 | 훌리오 세사르 로메로 | MF | 7 | 하리스 모하메드 | 
| FW | 7 | 부에나벤투라 페레이라 | MF | 14 | 바실 고르기스 | 
| FW | 11 | 알프레도 멘도사 | FW | 10 | 후세인 사이드 | 
| FW | 9 | 로베르토 카바냐스 | FW | 8 | 아흐메드 라디 | 
| 교체 선수 | 교체 선수 | ||||
| MF | 16 | 호르헤 과스치 | FW | 11 | 라힘 하미드 | 
| MF | 19 | 바심 카심 | |||
| 감독: 카예타노 레 | 감독: 에바리스투 지 마시두|에바리스투 지 마세두pt | ||||
2. 2. 3. 멕시코 vs 파라과이
1986년 6월 7일 멕시코시티의 아스테카에서 열린 멕시코와 파라과이의 경기는 1-1 무승부로 끝났다. 멕시코는 전반 3분 루이스 플로레스가 선제골을 넣었지만, 파라과이는 후반 40분 훌리오 세사르 로메로가 동점골을 넣어 경기를 원점으로 돌렸다.[1]경기에는 114,600명의 관중이 입장했으며, 주심은 잉글랜드의 조지 코트니가 맡았다.
{| class="wikitable"
|+ 경기 정보
|-
! width="50%" | 멕시코
! width="50%" | 파라과이
|-
|
| 선수 | |||
|---|---|---|---|
| GK | 1 | 파블로 라리오스 | |
| DF | 2 | 마리오 트레호 | [1] | 
| DF | 3 | 페르난도 키라르테 | |
| DF | 14 | 펠리스 크루스 | |
| DF | 17 | 라울 세르빈 | |
| MF | 16 | 카를로스 무뇨스 | |
| MF | 10 | 토마스 보이 (주장) | |
| MF | 13 | 하비에르 아기레 | |
| FW | 22 | 마누엘 네그레테 | |
| FW | 15 | 루이스 플로레스 | |
| FW | 9 | 우고 산체스 | |
| 교체 선수 | |||
| MF | 7 | 미겔 에스파냐 | |
| FW | 5 | 프란시스코 하비에르 크루스 | |
| 감독 | |||
| 보라 밀루티노비치 | |||
|
| 선수 | ||
|---|---|---|
| GK | 1 | 로베르토 페르난데스 | 
| DF | 2 | 후안 토랄레스 | 
| DF | 3 | 세사르 사발라 | 
| DF | 4 | 블라디미로 스체티나 | 
| DF | 5 | 로헬리오 델가도 (주장) | 
| MF | 6 | 호르헤 아마도 누네스 | 
| MF | 10 | 아돌피노 카녜테 | 
| MF | 8 | 훌리오 세사르 로메로 | 
| FW | 7 | 부에나벤투라 페레이라 | 
| FW | 11 | 알프레도 멘도사 | 
| FW | 9 | 로베르토 카바냐스 | 
| 교체 선수 | ||
| MF | 16 | 호르헤 과스치 | 
| FW | 20 | 라몬 이크스 | 
| 감독 | ||
| 카예타노 레 | ||
|}
2. 2. 4. 이라크 vs 벨기에
1986년 6월 8일 톨루카의 네메시오 디에스에서 열린 이라크와 벨기에의 경기는 벨기에가 2-1로 승리했다. 엔초 시포가 전반 16분에 선제골을 넣었고, 클레선이 전반 21분에 페널티킥으로 추가골을 넣었다. 이라크는 후반 14분에 라디가 한 골을 만회했다.| 이라크 | 벨기에 | ||
|---|---|---|---|
| 1 라드 함무디 (주장) | 1 장-마리 파프 | ||
| 3 칼리 알라위 | 2 에릭 헤러츠 | ||
| 4 나딤 샤케르 | 3 프랑키 판 데르 엘스트 | ||
| 5 사미르 샤케르 | 4 미셸 드 올프 | ||
| 15 나틱 하심 | 21 스테판 드몰 | ||
| 22 가님 오라이비 | 6 프랑키 베르코테랑 | ||
| 6 알리 후세인 시하브 | 7 레네 판더레이컨 | ||
| 7 하리스 모하메드 | 10 필리프 데스메 | ||
| 14 바실 고르기스 | 8 엔초 시포 | ||
| 9 카림 사담 | 11 얀 쾰레만스 (주장) | ||
| 8 아흐메드 라디 | 16 니코 클레선 | ||
| 교체 선수 | 교체 선수 | ||
| 11 라힘 하미드 | 14 레이 클레이스터르스 | ||
| | | 13 조르주 그륀 | ||
| 감독 | 감독 | ||
| Evaristo de Macedo|에바리스투 지 마시두pt | 기 티 | ||
2. 2. 5. 이라크 vs 멕시코
1986년 6월 11일, 멕시코시티의 아스테카에서 열린 이라크와 멕시코의 경기는 키라르테의 결승골로 멕시코가 1-0으로 승리했다. 이 경기에는 103,763명의 관중이 입장했으며, 유고슬라비아의 조란 페트로비치 심판이 주심을 맡았다.이라크는 파타흐 자이에프가 골키퍼를, 마드 이브라힘, 칼리 알라위, 나딤 샤케르, 나틱 하심, 가님 오라이비가 수비수를, 알리 후세인 시하브, 아나드 아비드, 바심 카심이 미드필더를, 카림 사담, 아흐메드 라디가 공격수를 맡았다. 라힘 하미드와 샤케르 마흐무드가 교체 선수로 투입되었다. 감독은 에바리스투 지 마시두였다.
멕시코는 파블로 라리오스가 골키퍼를, 라파엘 아마도르, 키라르테, 펠리스 크루스, 라울 세르빈이 수비수를, 카를로스 데 로스 코보스, 미겔 에스파냐, 보이, 아기레가 미드필더를, 네그레테, 플로레스가 공격수를 맡았다. 알레한드로 도밍게스와 프란시스코 하비에르 크루스가 교체 선수로 투입되었다. 감독은 보라 밀루티노비치였다.
2. 2. 6. 파라과이 vs 벨기에
1986년 6월 11일es, 멕시코 톨루카의 네메시오 디에스에서 열린 파라과이와 벨기에의 경기는 2-2 무승부로 끝났다. 파라과이는 로베르토 카바냐스가 두 골을 넣었고, 벨기에는 프랑키 베르코테랑과 다니엘 베이트가 각각 한 골씩 기록했다.| 파라과이 선수 | 벨기에 선수 |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